이벤트 카메라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시간과 공간의 매우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센서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보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벤트 데이터는 전통적인 프레임 기반 카메라와는 달리 각 픽셀이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픽셀 단위로 발생하는 변화를 기록하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에는 다양한 왜곡 및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1. 비균일한 픽셀 응답 보정
이벤트 카메라의 각 픽셀은 빛에 대한 감도가 다를 수 있다. 즉, 동일한 광량을 받더라도 각 픽셀이 발생시키는 이벤트의 개수와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이 문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모델링된다:
여기서: - I(\mathbf{p}, t)는 픽셀 \mathbf{p}에서 시간 t에 발생한 이벤트, - R(\mathbf{p})는 픽셀 \mathbf{p}의 응답 계수, - L(\mathbf{p}, t)는 해당 시점에서의 광량이다.
따라서, 각 픽셀의 응답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R(\mathbf{p})를 보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밀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각 픽셀의 감도를 측정하고, 이를 보정 매트릭스 \mathbf{R}로 사용하여 보정된 이벤트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러한 보정은 특히 동일한 장면에 대해 각 픽셀의 응답이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서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실내 조명과 실외 조명의 차이가 큰 경우, 픽셀 간 감도 차이로 인해 이벤트 데이터가 왜곡될 수 있다.
2. 시간적 드리프트 보정
이벤트 카메라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이벤트를 기록한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시간 해상도는 종종 개별 픽셀의 시간 응답에서 미세한 드리프트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적 드리프트는 센서의 온도 변화, 전자기적 간섭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시간적 드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모델링된다:
여기서: - t_{\text{actual}}은 실제 이벤트 발생 시간, - t_{\text{measured}}는 측정된 이벤트 발생 시간, - \Delta t(\mathbf{p}, t)는 시간적 드리프트 보정값이다.
이 값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리프트 패턴을 추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주기적으로 이벤트 카메라가 참조 신호를 받거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해 캘리브레이션하여 시간 오차를 계산한다. 그런 후에, 다음과 같이 시간 보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시간적으로 정확한 이벤트 데이터가 복원된다.
3. 공간적 왜곡 보정
이벤트 카메라의 각 픽셀은 고정된 위치에 있지만, 렌즈의 특성이나 기타 외부적 요인에 의해 각 픽셀의 좌표가 실제 물리적 공간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왜곡은 주로 렌즈의 비선형적인 왜곡 효과로 인해 발생하며, 이를 모델링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 \mathbf{p}_{\text{actual}}은 실제 물리적 공간에서의 좌표, - \mathbf{p}_{\text{measured}}는 측정된 이벤트의 좌표, - \Delta \mathbf{p}(\mathbf{p}_{\text{measured}})는 왜곡 보정량이다.
이러한 공간적 왜곡은 일반적으로 이벤트 카메라의 렌즈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카메라의 내외부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보정된 좌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 \mathbf{K}는 카메라의 내매개변수 행렬, - \mathbf{d}(\mathbf{p})는 왜곡 모델에 따라 정의된 왜곡 함수이다.
이러한 보정 과정을 통해 실제 물리적 공간에서의 이벤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4. 감마 보정
이벤트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비선형적인 감도 곡선을 가지며, 이는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과 이벤트 발생 간의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선형성은 특히 저조도 또는 고조도 환경에서 두드러진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감마 보정을 사용한다.
감마 보정은 픽셀의 비선형 응답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 I(\mathbf{p}, t)는 픽셀 \mathbf{p}에서 측정된 이벤트 값, - I'(\mathbf{p}, t)는 감마 보정된 값, - \gamma는 감마 보정 계수이다.
감마 보정은 조명 조건에 따라 \gamma 값이 다르게 설정되며, 이를 통해 픽셀의 감도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 카메라의 경우, 매우 빠른 조명 변화에도 픽셀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감마 값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5. 이벤트 데이터의 정렬 및 시간 동기화
이벤트 카메라는 각 픽셀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특정 시간에 발생한 이벤트들이 정확히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카메라를 다수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여러 카메라 간의 시간 동기화가 필수적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이벤트 데이터의 정렬 및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
시간 동기화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 t_{\text{measured}}는 원래 측정된 이벤트 발생 시간, - \Delta t_{\text{sync}}는 동기화 오차를 보정한 시간 오프셋이다.
멀티 카메라 시스템에서 시간 동기화는 더욱 중요하며, 이를 위해 외부 참조 클럭 또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각 카메라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각 이벤트의 시간 해상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나노초 단위의 동기화가 요구되기도 한다.
이벤트 데이터의 정렬은 시간 순서대로 이벤트를 정리하는 과정으로, 이는 처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비동기적으로 수집된 이벤트들은 시간 축을 기준으로 재배열되어야 한다.
6. 온도 보정
이벤트 카메라의 센서는 온도 변화에 민감할 수 있다. 온도가 변하면 픽셀의 응답 속도와 감도가 달라지며, 특히 고온 환경에서는 센서의 전자기적 특성에 의해 노이즈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변화에 따른 보정이 필요하며, 보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온도에 따른 감도 변화 모델
픽셀의 응답 속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모델링하기 위해 보정 계수를 사용한다. 감도 변화는 일반적으로 온도 변화와 선형 관계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 S(\mathbf{p}, T)는 픽셀 \mathbf{p}의 온도 T에서의 감도, - S_0(\mathbf{p})는 기준 온도 T_0에서의 감도, - \alpha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도 변화 계수.
이 수식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감도 변화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정 작업을 수행한다.
온도에 따른 노이즈 증가 보정
고온 환경에서는 이벤트 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열 노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픽셀이 실제 광 신호가 아닌 열에 반응하여 잘못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노이즈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고온에서 발생하는 잘못된 이벤트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노이즈 증가 모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 N(T)는 온도 T에서의 노이즈 레벨, - N_0는 기준 온도 T_0에서의 노이즈 레벨, - \beta는 온도에 따른 노이즈 증가율이다.
온도 변화에 따른 노이즈를 보정하기 위해, 이벤트 데이터에서 N(T)에 해당하는 노이즈 이벤트를 제거하거나 필터링한다. 이러한 필터링 과정은 보통 이벤트 발생 빈도나 픽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온도에서 노이즈가 더 심하게 발생하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보정한다.
7. 광학적 보정
이벤트 카메라의 경우 렌즈와 센서 간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광학적 왜곡 또한 보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왜곡은 렌즈의 비선형적인 특성이나 센서의 불균일한 배치로 인해 발생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한 매트릭스는 보통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도출된다.
광학적 보정은 주로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 \mathbf{K}는 카메라의 내매개변수 행렬, - \mathbf{p}는 왜곡된 픽셀 좌표, - \mathbf{d}(\mathbf{p})는 왜곡 함수이다.
이러한 보정은 카메라의 내외부 매개변수(초점 거리, 주점, 왜곡 계수 등)를 기반으로 수행되며, 이벤트 데이터가 왜곡된 공간에서 수집될 경우 해당 공간에 맞게 보정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벤트 카메라의 높은 시간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공간적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