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S 위성 네트워크 개요

GNSS 위성 시스템은 지구 주위를 도는 다수의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위성들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지구를 주기적으로 회전하며 GNSS 수신기에 신호를 전달한다. GNSS 위성 시스템의 주요 역할은 지리적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위성들은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기들은 이 신호를 처리하여 자신의 위치, 속도, 시간 등을 계산한다.

GNSS 위성 네트워크는 크게 우주부문(Space Segment), 지상부문(Ground Segment), 그리고 사용자부문(User Segment)으로 나뉜다. 이 세 부문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정확한 위치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우주부문(Space Segment)

우주부문은 지구 궤도를 도는 GNSS 위성 자체로 구성된다. 위성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위성 궤도 및 배치

위성 궤도는 중궤도(Medium Earth Orbit; MEO)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도는 약 20,000 km에서 24,000 km 범위이다. 위성들은 궤도마다 일정한 속도로 지구를 회전하며, 지구 전역에서 항상 일정한 수의 위성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GNSS 시스템마다 위성의 배치와 궤도가 다르지만, 대부분 6~12개의 궤도면에 위성이 배치된다.

궤도 설계

위성의 궤도는 지구 상의 특정 지역에서 일정한 수의 위성을 볼 수 있도록 궤도 경사각궤도 반경이 설계된다. 위성의 경로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r(t) = \mathbf{r}_0 + \mathbf{v}_0 t + \frac{1}{2} \mathbf{a} t^2

여기서, - \mathbf{r}(t)는 시간 t에서의 위성의 위치, - \mathbf{r}_0는 초기 위치, - \mathbf{v}_0는 초기 속도, - \mathbf{a}는 가속도를 의미한다.

궤도 설계의 기준

위성의 궤도 설계 시 중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궤도 고도: 궤도 고도는 위성이 지구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결정하며, GNSS 위성은 중궤도에 위치한다. - 궤도 경사각: 위성의 궤도 경사각은 위성이 적도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로, 전 세계적으로 균등하게 신호를 보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 궤도 주기: 궤도 주기는 위성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GNSS 위성은 약 12시간 주기를 갖는다.

지상부문(Ground Segment)

지상부문은 위성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지상국으로 구성된다. 지상국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GNSS 시스템에서 지상부문은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시간 동기화를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위치 측정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된다.

사용자부문(User Segment)

사용자부문은 GNSS 수신기와 이를 활용하는 사용자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GNSS 수신기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위치, 속도, 그리고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부문은 GNSS 시스템이 실제로 활용되는 부분으로,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d_i = c \cdot \Delta t_i

여기서, - d_i는 수신기와 위성 i 사이의 거리, - c는 빛의 속도, - \Delta t_i는 수신기가 측정한 위성 신호의 전파 시간 차이다.

삼변측량(Trilateration) 원리

수신기는 각각의 위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후, 이 정보를 사용해 지리적 위치를 계산한다. 이때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위성에서 전송된 신호의 전파 시간을 기반으로 거리를 측정한다.
  2. 각 위성의 위치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기는 세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측정한 거리를 기반으로 자신의 위치를 삼각측량 방식으로 계산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원리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x - x_i)^2 + (y - y_i)^2 + (z - z_i)^2 = d_i^2

여기서, - (x, y, z)는 수신기의 위치 좌표, - (x_i, y_i, z_i)는 위성 i의 위치 좌표, - d_i는 위성 i까지의 거리이다.

이 방정식들은 다수의 위성에 대해 정리되며, 최소 4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정확한 3차원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위성 신호의 구조

GNSS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각 위성이 전송하는 신호의 구조이다. GNSS 신호는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며, 각 신호는 고유의 코드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수신기는 이러한 신호를 기반으로 위성의 신호 도달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치를 계산한다.

신호 주파수 대역

위성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주로 L밴드에서 전송된다. 각 GNSS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이로 인해 수신기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GNSS 신호는 크게 항법 메시지(Navigation Message)코드로 구성된다. 항법 메시지는 위성의 위치 정보와 궤도 정보, 시간 동기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코드는 위성 간의 신호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GNSS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여 각 위성의 신호를 구분한다. 각 위성은 고유한 PRN 코드(Pseudo-Random Noise Code)를 사용하여 자신의 신호를 구분하며, 수신기는 이를 기반으로 각 위성의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PRN 코드는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다수의 위성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