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비동기 작업 자체는 본질적으로 비결정적이며, 여러 작업이 병렬로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지 않으면 작업의 순서가 뒤바뀌거나 예기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순차 실행을 보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비동기 작업의 순차성 문제
비동기 작업을 다루는 기본 개념은 각각의 작업이 언제 완료될지 미리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비동기 작업 A와 B가 있다고 가정하자. 일반적으로, A가 먼저 시작되었더라도 B가 먼저 완료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동기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를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식은 A 작업과 B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업 A와 B의 실행 순서는 그 자체로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Strand를 통한 순차 실행 보장
Boost.Asio는 이러한 순차 실행을 보장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Strand라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Strand는 하나 이상의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한다. 즉, Strand 내에서 실행된 작업들은 그 순서대로 실행되며, 동시에 실행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여러 스레드에서 작업을 병렬로 처리하더라도, 지정한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trand를 사용한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mathbf{T_1}, \mathbf{T_2}, \dots, \mathbf{T_n}과 같은 여러 개의 비동기 작업이 있고, 각각의 작업이 병렬로 처리될 수 있지만, Strand를 이용하면 그 작업들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됨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원리는 다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ightarrow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코드 예시
Boost.Asio에서 Strand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boost::asio::io_service io_service;
boost::asio::strand strand(io_service);
strand.post([]{
// 첫 번째 작업
});
strand.post([]{
// 두 번째 작업
});
위 코드는 두 개의 작업을 Strand에 등록하고 있으며, 이 작업들은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될 것이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동작
Strand의 순차 실행 보장 메커니즘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동일한 자원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데이터 경합(data race)을 방지하려면 작업의 순서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Strand를 사용하면 여러 스레드가 비동기적으로 작업을 요청하더라도, 그 작업들이 지정된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는 다음 수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각 스레드에서 발생한 비동기 작업을 \mathbf{T_i^{j}}로 정의할 때, j는 스레드 번호, i는 작업의 번호를 나타낸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수식은 각 스레드의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보장한다는 의미이다.
Strand를 사용한 작업 간 동기화
Strand는 비단 순차 실행을 보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중 스레드 간의 동기화를 해결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스레드에서 같은 자원에 접근하려는 작업들이 있을 때, 자원의 상태가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경합이나 교착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스레드 간의 작업 조정이 쉬워진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하자. 여러 비동기 작업이 자원 \mathbf{R}에 접근하여 읽기 및 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Strand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원 \mathbf{R}는 여러 스레드에 의해 동시에 접근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손상이나 경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Strand를 사용하면, 각 작업이 순차적으로 자원 \mathbf{R}에 접근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수식에서 \mathbf{R_{T_i}}는 자원 \mathbf{R}가 작업 \mathbf{T_i}에 의해 접근되는 것을 의미하며, Strand를 사용하면 이 접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성능 문제와 Strand의 활용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을 보장하는 Strand는 매우 유용하지만, 성능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이 있다. 모든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되면 병렬 처리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비동기 작업에 대해 Strand를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순차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비동기 작업을 병렬로 실행하되, 순차 실행이 필요한 부분에만 Strand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들어보자.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할 때, 요청 처리 자체는 병렬로 수행되지만, 로그 기록이나 특정 자원에 대한 접근은 순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Strand를 이용하여 병렬성과 순차성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코드 예시는 다음과 같다:
boost::asio::io_service io_service;
boost::asio::strand strand(io_service);
// 병렬 작업
io_service.post([]{
// 첫 번째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
io_service.post([]{
// 두 번째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
//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
strand.post([]{
// 로그 기록
});
strand.post([]{
//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
});
위 코드에서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는 병렬로 실행되지만, 로그 기록과 공유 자원 접근은 Strand를 통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Strand를 이용한 대규모 작업의 순차 실행
대규모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때도 Strand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대량의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작업 순서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Strand를 이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여러 개의 비동기 작업 \mathbf{T_1}, \mathbf{T_2}, \dots, \mathbf{T_n}이 있고, 이들이 각각 다른 데이터 블록 \mathbf{D_1}, \mathbf{D_2}, \dots, \mathbf{D_n}을 처리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작업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Strand를 사용하면 각 데이터 블록이 순서대로 처리됨을 보장할 수 있다. 이 개념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이 수식을 통해 데이터 블록들이 지정된 순서대로 처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매우 유용하다.
Mermaid를 이용한 순차 실행 흐름도
다음은 Strand를 이용한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Mermaid 흐름도이다.
위의 다이어그램에서 작업 A, B, C, D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이는 Strand를 통해 보장된다.
Strand와 핸들러 바인딩
Boost.Asio의 Strand는 핸들러 바인딩을 통해 각 작업의 실행을 조정할 수 있다. 핸들러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된 후 호출되는 함수인데, 이 핸들러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Strand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핸들러는 비동기 작업의 완료 시점에 호출되며, 각각의 핸들러가 어떤 순서로 호출되는지를 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만약 비동기 작업 A의 핸들러가 비동기 작업 B의 핸들러보다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면, 이 순서를 보장할 방법이 필요하다. Strand는 핸들러를 내부적으로 큐(queue)에 넣고 순차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핸들러 바인딩을 통한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두 개의 비동기 작업 A와 B의 핸들러를 각각 H_A와 H_B라고 할 때, Strand가 이를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Strand를 사용하면, 두 핸들러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고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됨을 보장할 수 있다.
Strand와 I/O 객체의 순차 실행
비동기 I/O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비동기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여러 I/O 작업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각 I/O 작업의 순차적 처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그 데이터를 처리한 후에 응답을 보내는 경우, 읽기 작업이 완료된 후 처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처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응답이 전송되어야 한다.
이 순차적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서도 Strand는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와의 비동기 통신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가정하자.
- 데이터를 읽는다.
- 데이터를 처리한다.
- 처리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이 경우, 각 작업의 핸들러가 순차적으로 호출되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H_{\text{read}}, H_{\text{process}}, H_{\text{write}}는 각각 읽기, 처리, 쓰기 작업의 핸들러를 나타내며, Strand는 이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을 보장한다.
Strand와 비동기 작업의 스케줄링
Boost.Asio에서 비동기 작업의 스케줄링은 io_service 객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io_service는 비동기 작업을 큐에 저장하고 이를 스케줄링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여러 작업이 동시에 스케줄링되는 경우, 순차 실행을 보장하는 것은 io_service만으로는 어렵다. 이때 Strand를 사용하여 작업 스케줄링의 순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비동기 작업 T_1과 T_2가 io_service에 의해 스케줄링된다고 가정하자. 만약 이 작업들이 동시에 스케줄링된다면, 그 실행 순서는 보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Strand를 사용하면, 이 작업들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스케줄링되어 실행됨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 수식은 T_1과 T_2 작업이 Strand를 통해 순차적으로 스케줄링되고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스레드에서의 Strand 처리 흐름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데, 각 스레드가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작업의 순차성을 보장하려면 각 스레드에서의 Strand 관리가 필요하다. Strand는 각 스레드에서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다른 스레드에서 같은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두 개의 스레드 \mathbf{S_1}과 \mathbf{S_2}가 각각 Strand 내에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이때, 스레드 간의 작업이 충돌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처리되려면 Strand가 각 스레드에 할당된 작업들을 조정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 수식은 스레드 \mathbf{S_1}과 \mathbf{S_2}에서 실행되는 작업이 Strand를 통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Mermaid를 이용한 멀티스레드 순차 실행 흐름도
다음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Strand를 이용하여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Mermaid 흐름도이다.
이 다이어그램은 스레드 1과 스레드 2가 각각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며, Strand를 통해 작업 1이 완료된 후 작업 2가 실행되는 순서를 보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Strand와 핸들러 바인딩
Boost.Asio의 Strand는 핸들러 바인딩을 통해 각 작업의 실행을 조정할 수 있다. 핸들러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된 후 호출되는 함수인데, 이 핸들러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Strand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핸들러는 비동기 작업의 완료 시점에 호출되며, 각각의 핸들러가 어떤 순서로 호출되는지를 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만약 비동기 작업 A의 핸들러가 비동기 작업 B의 핸들러보다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면, 이 순서를 보장할 방법이 필요하다. Strand는 핸들러를 내부적으로 큐(queue)에 넣고 순차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핸들러 바인딩을 통한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두 개의 비동기 작업 A와 B의 핸들러를 각각 H_A와 H_B라고 할 때, Strand가 이를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Strand를 사용하면, 두 핸들러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고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됨을 보장할 수 있다.
Strand와 I/O 객체의 순차 실행
비동기 I/O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비동기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여러 I/O 작업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각 I/O 작업의 순차적 처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그 데이터를 처리한 후에 응답을 보내는 경우, 읽기 작업이 완료된 후 처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처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응답이 전송되어야 한다.
이 순차적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서도 Strand는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와의 비동기 통신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가정하자.
- 데이터를 읽는다.
- 데이터를 처리한다.
- 처리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이 경우, 각 작업의 핸들러가 순차적으로 호출되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H_{\text{read}}, H_{\text{process}}, H_{\text{write}}는 각각 읽기, 처리, 쓰기 작업의 핸들러를 나타내며, Strand는 이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을 보장한다.
Strand와 비동기 작업의 스케줄링
Boost.Asio에서 비동기 작업의 스케줄링은 io_service 객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io_service는 비동기 작업을 큐에 저장하고 이를 스케줄링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여러 작업이 동시에 스케줄링되는 경우, 순차 실행을 보장하는 것은 io_service만으로는 어렵다. 이때 Strand를 사용하여 작업 스케줄링의 순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비동기 작업 T_1과 T_2가 io_service에 의해 스케줄링된다고 가정하자. 만약 이 작업들이 동시에 스케줄링된다면, 그 실행 순서는 보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Strand를 사용하면, 이 작업들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스케줄링되어 실행됨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 수식은 T_1과 T_2 작업이 Strand를 통해 순차적으로 스케줄링되고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스레드에서의 Strand 처리 흐름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데, 각 스레드가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작업의 순차성을 보장하려면 각 스레드에서의 Strand 관리가 필요하다. Strand는 각 스레드에서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다른 스레드에서 같은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두 개의 스레드 \mathbf{S_1}과 \mathbf{S_2}가 각각 Strand 내에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이때, 스레드 간의 작업이 충돌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처리되려면 Strand가 각 스레드에 할당된 작업들을 조정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 수식은 스레드 \mathbf{S_1}과 \mathbf{S_2}에서 실행되는 작업이 Strand를 통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Mermaid를 이용한 멀티스레드 순차 실행 흐름도
다음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Strand를 이용하여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Mermaid 흐름도이다.
이 다이어그램은 스레드 1과 스레드 2가 각각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며, Strand를 통해 작업 1이 완료된 후 작업 2가 실행되는 순서를 보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Strand와 비동기 소켓 통신에서의 순차 실행
Boost.Asio에서 비동기 소켓 통신은 매우 흔히 사용되며,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여러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의 순서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도 Strand를 통해 비동기 소켓 통신의 순차 실행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읽은 후, 그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는 서버를 생각해보자. 이때 데이터 읽기, 처리, 쓰기의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순서를 보장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깨지거나, 데이터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T_{\text{read}}는 소켓에서 데이터를 읽는 작업, T_{\text{process}}는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 T_{\text{write}}는 처리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쓰는 작업을 의미한다.
비동기 소켓 통신에서 Strand의 사용 예시
다음은 Strand를 사용하여 소켓에서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처리하고, 다시 쓰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예시 코드이다:
boost::asio::io_service io_service;
boost::asio::strand strand(io_service);
boost::asio::ip::tcp::socket socket(io_service);
//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 읽기
strand.post([&]{
std::array<char, 128> buffer;
boost::asio::async_read(socket, boost::asio::buffer(buffer), strand.wrap([](boost::system::error_code ec, std::size_t length){
if (!ec) {
std::cout << "데이터 읽기 완료: " << length << " 바이트" << std::endl;
//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을 이어서 실행
}
}));
});
// 데이터를 처리한 후 응답 쓰기
strand.post([&]{
std::string response = "처리된 데이터";
boost::asio::async_write(socket, boost::asio::buffer(response), strand.wrap([](boost::system::error_code ec, std::size_t){
if (!ec) {
std::cout << "응답 쓰기 완료" << std::endl;
}
}));
});
io_service.run();
위의 코드에서 소켓에서 데이터를 읽는 작업과 처리 후 응답을 쓰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을 Strand가 보장한다. 각각의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작업이 이어서 실행되며, 작업들이 병렬로 실행되지 않고 올바른 순서대로 처리된다.
Strand와 비동기 UDP 통신의 순차 실행
UDP 통신은 TCP와 달리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는 순서가 중요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UDP를 이용해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하는 경우, 송신된 데이터 패킷이 순차적으로 처리되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이나 중복이 발생할 수 있다.
Boost.Asio에서 UDP 통신의 비동기성을 활용하면서도 패킷의 순차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 Strand를 사용할 수 있다. UDP 통신에서도 여러 패킷이 동시에 도착할 수 있지만, Strand를 사용하면 도착한 패킷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여러 UDP 패킷 P_1, P_2, \dots, P_n이 도착했을 때, Strand가 이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비동기 UDP 통신에서 Strand의 사용 예시
UDP 통신에서도 데이터 수신과 처리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boost::asio::io_service io_service;
boost::asio::strand strand(io_service);
boost::asio::ip::udp::socket socket(io_service, boost::asio::ip::udp::endpoint(boost::asio::ip::udp::v4(), 8080));
// 클라이언트로부터 패킷 수신
strand.post([&]{
std::array<char, 128> recv_buffer;
boost::asio::ip::udp::endpoint remote_endpoint;
socket.async_receive_from(boost::asio::buffer(recv_buffer), remote_endpoint, strand.wrap([&](boost::system::error_code ec, std::size_t bytes_recvd){
if (!ec) {
std::cout << "패킷 수신 완료: " << bytes_recvd << " 바이트" << std::endl;
// 받은 패킷을 처리하는 작업
}
}));
});
// 수신된 패킷을 처리한 후 응답 전송
strand.post([&]{
std::string response = "UDP 응답";
socket.async_send_to(boost::asio::buffer(response), remote_endpoint, strand.wrap([](boost::system::error_code ec, std::size_t){
if (!ec) {
std::cout << "응답 전송 완료" << std::endl;
}
}));
});
io_service.run();
위 코드에서는 UDP 패킷 수신 작업과 응답 전송 작업이 Strand를 통해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이를 통해 UDP의 비연결성과는 상관없이 패킷 처리의 순서를 보장할 수 있다.
비동기 작업에서 에러 처리와 Strand의 역할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도 Strand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러 처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에러의 원인과 처리 흐름을 추적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에러 발생 시에도 작업의 순차 실행을 보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작업 도중 에러가 발생하면, 그 에러를 처리한 후 다음 작업으로 진행해야 한다. Strand는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그 처리와 이후 작업의 순서를 보장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에러가 발생한 비동기 작업 T_{\text{error}}와 그 다음 작업 T_{\text{next}} 간의 순서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수식을 통해,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그 처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에러 처리를 포함한 비동기 작업의 순차 실행 예시
다음은 비동기 작업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그 처리를 포함하여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코드이다:
boost::asio::io_service io_service;
boost::asio::strand strand(io_service);
boost::asio::ip::tcp::socket socket(io_service);
// 데이터 수신 작업
strand.post([&]{
std::array<char, 128> buffer;
boost::asio::async_read(socket, boost::asio::buffer(buffer), strand.wrap([](boost::system::error_code ec, std::size_t length){
if (ec) {
std::cout << "에러 발생: " << ec.message() << std::endl;
// 에러 처리 후, 다음 작업 진행
} else {
std::cout << "데이터 수신 완료: " << length << " 바이트" << std::endl;
// 정상적인 처리 후, 다음 작업 진행
}
}));
});
// 다음 작업 진행
strand.post([&]{
std::cout << "다음 작업 진행" << std::endl;
});
io_service.run();
이 코드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 처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후 작업 역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Strand는 비동기 작업이 에러 처리 후에도 올바른 순서대로 진행되도록 보장한다.
Mermaid를 이용한 비동기 소켓 및 UDP 통신의 순차 실행 흐름도
다음은 비동기 소켓 통신과 UDP 통신에서 Strand를 이용한 순차 실행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 다이어그램은 소켓 통신과 UDP 통신에서 데이터 수신, 처리, 응답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
되는 과정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