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의 기본 정의
전류는 전하의 흐름을 의미하며, 단위 시간당 특정 단면을 통과하는 전하량으로 정의된다. 즉,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Q는 전하량, t는 시간이다. 전하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자유 전자나 이온에 의해 발생하며, 전하 운반자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류가 형성된다.
전류의 방향성
전류의 방향은 전하 운반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이 있다. 음의 전하를 가진 전자(electron)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전류의 방향은 왼쪽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전류의 방향은 전하 운반자의 실제 이동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는 전하 이동의 순 방향에 의존하는 벡터량이 아니라 스칼라량으로 볼 수 있다.
전류 밀도의 정의
전류 밀도는 전류의 분포를 더 정밀하게 표현하는 물리량으로, 단위 면적당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전류 밀도 \mathbf{J}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mathbf{J}는 전류 밀도 벡터, d\mathbf{I}는 단위 면적 dA를 통과하는 미소 전류이다. 전류 밀도는 전하 운반자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벡터로 나타내며, 단위는 \text{A/m}^2이다.
연속체에서의 전류 밀도 표현
전류 밀도는 연속체 모델에서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 특정 부피 내의 전하 운반자가 평균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전류 밀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n은 단위 부피당 전하 운반자의 수, q는 각각의 전하 운반자의 전하량, \mathbf{v}는 전하 운반자의 평균 속도이다. 이 식은 전류 밀도가 전하 운반자의 농도와 이동 속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전류 밀도의 미시적 관점
전류 밀도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전하 운반자의 미시적 움직임을 고려할 수 있다. 금속 도체 내부의 자유 전자는 불규칙하게 움직이지만, 외부 전기장이 가해지면 특정 방향으로 순 이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하 운반자의 순 이동이 전류 밀도를 형성한다.
자유 전자의 평균 이동 속도를 \mathbf{v}_d (drift velocity)라고 하고, 단위 부피당 자유 전자의 수를 n이라 하면, 미소 전류 d\mathbf{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 n은 단위 부피당 자유 전자의 수, - q는 전자의 전하량, - \mathbf{v}_d는 drift velocity, - dA는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다.
연속체 방정식 (Continuity Equation)
전류 밀도와 연관된 중요한 물리적 법칙은 연속체 방정식이다. 연속체 방정식은 전하가 보존된다는 원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특정 부피에서 전하의 시간적 변화와 전류 밀도의 발산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 \rho는 전하 밀도 (단위 부피당 전하량), - \nabla \cdot \mathbf{J}는 전류 밀도의 발산을 나타낸다.
이 방정식은 특정 영역 내에서 전하가 생성되거나 소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만약 \nabla \cdot \mathbf{J}가 양수라면 해당 영역에서 전하가 빠져나가는 것을, 음수라면 전하가 해당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전류와 전류 밀도의 관계
전류 \mathbf{I}와 전류 밀도 \mathbf{J}는 다음과 같은 적분 형태의 관계로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S는 전류가 통과하는 단면적이며, d\mathbf{A}는 단면의 면적 벡터이다. 이 식은 특정 면적을 통과하는 전류 밀도를 적분하여 전체 전류를 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계식들은 전류 밀도를 통해 전류의 공간적 분포와 흐름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전류 밀도는 특정 위치에서의 전류의 방향과 크기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며, 이로 인해 전하의 미세한 거동을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류 밀도의 물질적 특성
전류 밀도는 물질의 전기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물질의 전도도(Conductivity)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물질의 전도도 \sigma는 전기장이 가해졌을 때 전하 운반자가 얼마나 쉽게 이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 관계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 \sigma는 물질의 전도도 (\text{S/m}), - \mathbf{E}는 전기장 벡터이다.
이 식은 Ohm의 법칙의 미시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전도도가 높은 물질은 동일한 전기장 아래에서 더 큰 전류 밀도를 가지며, 이는 전류가 더 원활하게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전도도가 낮은 물질은 전기장이 동일해도 전류 밀도가 낮아 전류가 흐르기 어렵다.
Drift Current와 Diffusion Current
전류 밀도는 전하 운반자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주로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진다: Drift와 Diffusion.
Drift Current
Drift current는 외부 전기장 \mathbf{E}에 의해 전하 운반자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drift velocity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류 밀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mu는 전하 운반자의 이동도(mobility)이다. 이동도는 전하 운반자가 외부 전기장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text{m}^2/\text{V·s}이다. 따라서 drift current는 전기장이 클수록 커지며, 전하 운반자의 농도와 전하량에 비례한다.
Diffusion Current
Diffusion current는 농도의 차이에 의해 전하 운반자가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확산하면서 발생한다. 이는 Fick의 법칙에 따라 전류 밀도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 D는 확산 계수(diffusion coefficient), - \nabla n은 전하 운반자의 농도 기울기이다.
확산 전류는 농도의 기울기가 클수록 커지며, 전하 운반자가 더 밀집된 영역에서 덜 밀집된 영역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주로 반도체 물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자와 정공의 움직임에 의해 전류가 형성된다.
총 전류 밀도
전류 밀도는 drift current와 diffusion current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총 전류 밀도는 다음과 같다.
이 식은 전류 밀도가 외부 전기장과 전하 운반자의 농도 기울기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며, 특히 반도체 물질에서 두 가지 메커니즘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