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소함수의 정의

복소함수는 복소수를 입력받아 복소수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일반적으로 복소수 z = a + bi로 표현되며, 여기서 a는 실수부, b는 허수부이다. 복소함수 f(z)는 실수부와 허수부를 가지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z) = u(a, b) + iv(a, b)

여기서 u(a, b)는 실수부, v(a, b)는 허수부이다. 이때, uv는 실수값을 가지는 함수들이다.

2. 함수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복소함수 f(z)의 독립 변수 z는 복소수로,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각각 ab라고 할 수 있다. 함수의 값도 복소수로 표현되며, 이는 다시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뉜다.

z = a + bi, \quad f(z) = u(a, b) + iv(a, b)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를 각각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때, f(z)는 두 개의 실수 함수 u(a, b)v(a, b)로 나눌 수 있다.

3. 복소함수의 연속성

복소함수의 연속성은 실수함수에서의 연속성과 유사하지만, 복소수의 특성으로 인해 좀 더 엄격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복소함수 f(z)가 연속이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lim_{\Delta z \to 0} f(z + \Delta z) = f(z)

여기서 \Delta z = \Delta a + i\Delta b이며, \Delta z가 0으로 수렴할 때 함수의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대해 연속성을 따져볼 수 있다.

4. 실수부와 허수부의 편미분

복소함수에서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따로따로 다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실수부 u(a, b)와 허수부 v(a, b)의 편미분을 구할 수 있다.

\frac{\partial f}{\partial a} = \frac{\partial u}{\partial a} + i\frac{\partial v}{\partial a}, \quad \frac{\partial f}{\partial b} = \frac{\partial u}{\partial b} + i\frac{\partial v}{\partial b}

이러한 편미분은 복소함수의 특성에 따라 실수 함수에서처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5. 코시-리만 방정식

복소함수의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해야만 복소미분 가능하다는 점이다.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rac{\partial u}{\partial a} = \frac{\partial v}{\partial b}, \quad \frac{\partial u}{\partial b} = -\frac{\partial v}{\partial a}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는 미분 가능하며, 이를 통해 복소함수가 해석적(analytic)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6. 복소함수의 미분 가능성

실수 함수의 미분 가능성과는 달리, 복소함수의 미분 가능성은 더 엄격한 조건을 요구한다. 복소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각각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즉, 함수가 복소평면의 모든 점에서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할 경우, 해당 함수는 복소미분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복소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z) = \lim_{\Delta z \to 0} \frac{f(z + \Delta z) - f(z)}{\Delta z}

이때, \Delta z는 복소수이며, 이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눌 수 있다.

7. 복소함수의 기하학적 해석

복소함수는 복소평면 상에서 기하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복소함수 f(z)는 복소평면 상의 점 z = a + bi를 또 다른 복소평면 상의 점 f(z) = u(a, b) + iv(a, b)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은 단순한 좌표 이동일 수도 있고, 복잡한 변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복소함수의 기하학적 해석에서는 함수가 구간을 따라 어떻게 이동하는지, 즉 함수의 경로와 벡터 필드 등을 통해 더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8. 복소함수의 성질

복소함수는 일반적인 실수 함수와는 달리,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은 다음과 같다.

8.1 해석성 (Analyticity)

복소함수 f(z)가 해석적(analytic)이라는 것은 함수가 복소평면에서 모든 점에서 미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해석 함수는 복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며, 각 점에서의 도함수가 존재해야 한다. 해석 함수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해야만 하며, 이는 함수가 미분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조건이다.

8.2 정칙성 (Holomorphy)

정칙 함수(holomorphic function)는 해석적 함수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특정 영역에서 복소함수가 미분 가능할 때, 그 영역에서 정칙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해석적 함수는 특정 복소수 영역에서 정칙성을 가진다.

9. 복소함수의 일반적 예시

복소수 함수의 일반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9.1 다항 복소함수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복소수 함수는 복소수 변수 z = a + bi에 대해 다항식 형태로 표현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f(z) = z^2 + 2z + 1

위와 같은 다항식 복소함수는 z의 각 항을 ab로 나누어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타낼 수 있다.

9.2 지수 복소함수

복소수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z) = e^z = e^{a+bi} = e^a (\cos b + i\sin b)

여기서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이 적용되어 e^{bi} = \cos b + i\sin b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복소수의 극형식 표현과도 연결된다.

9.3 로그 복소함수

로그 복소함수는 복소수의 특성상 여러 가지 다른 해를 가질 수 있다. 복소수 z에 대한 로그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og(z) = \log|z| + i\arg(z)

여기서 |z|는 복소수의 절댓값, \arg(z)는 복소수의 편각을 의미한다. 이 함수는 여러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다가 함수(branching function)이다.

10. 복소함수의 극한

복소함수의 극한은 실수 함수의 극한과 유사하게 정의된다. z가 특정 복소수 z_0에 접근할 때, 함수 f(z)의 극한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im_{z \to z_0} f(z) = L

여기서 z는 복소수로, z_0로 접근하는 경로가 복소평면에서 다양한 경로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실수 함수의 극한과는 다소 다른 개념을 포함한다.

11. 복소함수의 연속성

복소함수의 연속성도 실수 함수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f(z)가 특정 점 z_0에서 연속이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lim_{z \to z_0} f(z) = f(z_0)

이 조건은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대해 적용되며, u(a, b)v(a, b) 모두가 연속적이어야 복소함수 전체가 연속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