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소함수의 정의
복소함수는 복소수를 입력받아 복소수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일반적으로 복소수 z = a + bi로 표현되며, 여기서 a는 실수부, b는 허수부이다. 복소함수 f(z)는 실수부와 허수부를 가지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u(a, b)는 실수부, v(a, b)는 허수부이다. 이때, u와 v는 실수값을 가지는 함수들이다.
2. 함수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복소함수 f(z)의 독립 변수 z는 복소수로,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각각 a와 b라고 할 수 있다. 함수의 값도 복소수로 표현되며, 이는 다시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뉜다.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를 각각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때, f(z)는 두 개의 실수 함수 u(a, b)와 v(a, b)로 나눌 수 있다.
3. 복소함수의 연속성
복소함수의 연속성은 실수함수에서의 연속성과 유사하지만, 복소수의 특성으로 인해 좀 더 엄격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복소함수 f(z)가 연속이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Delta z = \Delta a + i\Delta b이며, \Delta z가 0으로 수렴할 때 함수의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대해 연속성을 따져볼 수 있다.
4. 실수부와 허수부의 편미분
복소함수에서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따로따로 다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실수부 u(a, b)와 허수부 v(a, b)의 편미분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편미분은 복소함수의 특성에 따라 실수 함수에서처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5. 코시-리만 방정식
복소함수의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해야만 복소미분 가능하다는 점이다.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는 미분 가능하며, 이를 통해 복소함수가 해석적(analytic)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6. 복소함수의 미분 가능성
실수 함수의 미분 가능성과는 달리, 복소함수의 미분 가능성은 더 엄격한 조건을 요구한다. 복소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각각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즉, 함수가 복소평면의 모든 점에서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할 경우, 해당 함수는 복소미분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복소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때, \Delta z는 복소수이며, 이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눌 수 있다.
7. 복소함수의 기하학적 해석
복소함수는 복소평면 상에서 기하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복소함수 f(z)는 복소평면 상의 점 z = a + bi를 또 다른 복소평면 상의 점 f(z) = u(a, b) + iv(a, b)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은 단순한 좌표 이동일 수도 있고, 복잡한 변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복소함수의 기하학적 해석에서는 함수가 구간을 따라 어떻게 이동하는지, 즉 함수의 경로와 벡터 필드 등을 통해 더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8. 복소함수의 성질
복소함수는 일반적인 실수 함수와는 달리,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은 다음과 같다.
8.1 해석성 (Analyticity)
복소함수 f(z)가 해석적(analytic)이라는 것은 함수가 복소평면에서 모든 점에서 미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해석 함수는 복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며, 각 점에서의 도함수가 존재해야 한다. 해석 함수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해야만 하며, 이는 함수가 미분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조건이다.
8.2 정칙성 (Holomorphy)
정칙 함수(holomorphic function)는 해석적 함수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특정 영역에서 복소함수가 미분 가능할 때, 그 영역에서 정칙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해석적 함수는 특정 복소수 영역에서 정칙성을 가진다.
9. 복소함수의 일반적 예시
복소수 함수의 일반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9.1 다항 복소함수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복소수 함수는 복소수 변수 z = a + bi에 대해 다항식 형태로 표현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다항식 복소함수는 z의 각 항을 a와 b로 나누어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타낼 수 있다.
9.2 지수 복소함수
복소수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이 적용되어 e^{bi} = \cos b + i\sin b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복소수의 극형식 표현과도 연결된다.
9.3 로그 복소함수
로그 복소함수는 복소수의 특성상 여러 가지 다른 해를 가질 수 있다. 복소수 z에 대한 로그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z|는 복소수의 절댓값, \arg(z)는 복소수의 편각을 의미한다. 이 함수는 여러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는 다가 함수(branching function)이다.
10. 복소함수의 극한
복소함수의 극한은 실수 함수의 극한과 유사하게 정의된다. z가 특정 복소수 z_0에 접근할 때, 함수 f(z)의 극한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z는 복소수로, z_0로 접근하는 경로가 복소평면에서 다양한 경로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실수 함수의 극한과는 다소 다른 개념을 포함한다.
11. 복소함수의 연속성
복소함수의 연속성도 실수 함수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f(z)가 특정 점 z_0에서 연속이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 조건은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대해 적용되며, u(a, b)와 v(a, b) 모두가 연속적이어야 복소함수 전체가 연속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