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좌표와 복소수의 관계
복소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a는 실수부(real part), b는 허수부(imaginary part), 그리고 i는 허수 단위로, i^2 = -1의 성질을 갖는다. 이 복소수를 극좌표계로 표현하면, 복소평면 상에서의 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복소수 z는 평면상의 점 (a, b)로 표현되며, 이 점은 극좌표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극형식의 정의
복소수 z = a + bi를 극형식으로 변환하면, 극좌표계에서는 반지름 r과 각도 \theta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로 정의된다. 여기서 r은 복소수 z의 절댓값 또는 모듈러스(modulus)라고 하며, \theta는 복소수의 편각(argument)이다. 이 극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식은 복소수의 극형식(polar form)을 나타낸다. 여기서, 복소수는 실수부와 허수부를 이용한 대수적 표현 대신, 크기 r과 각도 \theta로 복소수의 위치를 정의한다.
오일러 공식
오일러 공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복소수의 극형식은 더욱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 표현은 극형식의 간결한 형태이며, 복소수의 크기와 방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극형식에서의 곱셈과 나눗셈
복소수의 극형식은 곱셈과 나눗셈을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두 복소수 z_1과 z_2를 각각 다음과 같이 극형식으로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복소수의 곱셈
두 복소수의 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곱셈은 r_1과 r_2의 곱, 그리고 \theta_1과 \theta_2의 합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소수의 곱은 각 복소수의 모듈러스를 곱하고, 편각을 더한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복소수의 나눗셈
마찬가지로, 나눗셈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경우, 나눗셈은 모듈러스는 나누고, 편각은 빼면 된다.
이처럼 극형식에서는 복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이 매우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복소수의 켤레
복소수 z = a + bi의 켤레복소수는 \overline{z} = a - bi로 정의된다. 이를 극형식으로 표현하면, 모듈러스는 동일하지만, 편각의 부호가 반대가 된다. 즉,
이 성질은 복소수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