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의 정의
복소수 z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a와 b는 실수이며, i는 허수 단위이다. i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성질을 갖는다:
이는 허수의 핵심적인 정의로, 모든 복소수 연산의 기초가 된다.
i의 거듭제곱
i의 거듭제곱은 주기적인 성질을 보이다. 다음은 i의 거듭제곱 결과이다:
따라서, i의 거듭제곱은 4주기성을 가지며, 이는 모든 거듭제곱이 i, -1, -i, 1 중 하나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일반화하면 i^n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i의 성질을 이용한 복소수의 곱셈
복소수의 곱셈에서 i의 성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복소수 z_1 = a_1 + b_1 i와 z_2 = a_2 + b_2 i의 곱을 생각해 봅시다:
이를 전개하면:
여기서 i^2 = -1을 적용하면:
즉, 두 복소수의 곱셈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복소수로 표현된다:
이 식에서, 실수부는 a_1 a_2 - b_1 b_2, 허수부는 a_1 b_2 + b_1 a_2로 구성된다.
i의 성질을 이용한 복소수의 나눗셈
복소수의 나눗셈에서도 i의 성질이 활용된다. 두 복소수 z_1 = a_1 + b_1 i와 z_2 = a_2 + b_2 i의 나눗셈을 수행하기 위해, 복소수 z_2의 켤레복소수 \overline{z_2} = a_2 - b_2 i를 사용한다.
나눗셈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때 분모에서 허수를 제거하기 위해 분자와 분모에 \overline{z_2} = a_2 - b_2 i를 곱한다:
분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분자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i^2 = -1을 적용하면:
따라서 나눗셈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이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표현될 수 있다:
복소수의 켤레
복소수 z = a + b i의 켤레복소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켤레복소수는 복소수의 실수부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허수부의 부호를 바꾸는 연산이다. 이 성질은 복소수의 곱셈 및 나눗셈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다. 예를 들어, 복소수 z와 그 켤레복소수 \overline{z}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실수가 된다:
즉, 복소수와 그 켤레복소수를 곱한 값은 항상 실수이며, 이는 복소수의 모듈러스 |z|의 제곱과 동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