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렬의 기본 성질
1.1. 행렬의 덧셈과 스칼라 곱
행렬의 덧셈과 스칼라 곱은 기본적인 연산이며,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
- 덧셈의 교환 법칙:
여기서 \mathbf{A}와 \mathbf{B}는 같은 크기의 행렬이다.
- 덧셈의 결합 법칙:
여기서 \mathbf{A}, \mathbf{B}, \mathbf{C}는 같은 크기의 행렬이다.
- 스칼라 곱의 분배 법칙:
여기서 c는 스칼라이고, \mathbf{A}와 \mathbf{B}는 같은 크기의 행렬이다.
- 행렬 곱의 분배 법칙:
여기서 \mathbf{A}, \mathbf{B}, \mathbf{C}는 행렬이다.
1.2. 행렬의 전치
행렬 \mathbf{A}의 전치 \mathbf{A}^T는 행과 열을 교환한 행렬이다. 전치 행렬의 기본 성질은 다음과 같다.
- 전치의 전치:
- 전치의 덧셈 법칙:
- 전치의 곱셈 법칙:
1.3. 행렬의 역행렬
역행렬 \mathbf{A}^{-1}는 \mathbf{A}와 곱했을 때 단위행렬 \mathbf{I}를 만드는 행렬이다.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역행렬의 존재성: \mathbf{A}가 정사각 행렬일 때, \mathbf{A}가 가역적이면 \mathbf{A}^{-1}가 존재한다.
-
역행렬의 유일성: 역행렬은 유일한다. 즉, \mathbf{A} \mathbf{B} = \mathbf{I}이고 \mathbf{B} \mathbf{A} = \mathbf{I}일 때 \mathbf{B} = \mathbf{A}^{-1}이다.
-
역행렬의 곱셈 법칙: 두 행렬 \mathbf{A}와 \mathbf{B}가 가역적일 때,
2. 행렬식의 기본 성질
2.1. 행렬식의 정의
정사각 행렬 \mathbf{A}의 행렬식은 \text{det}(\mathbf{A})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 교환 법칙 (전치 행렬과의 관계):
- 곱셈 법칙:
- 역행렬과 행렬식: \mathbf{A}가 가역적일 때,
2.2. 특수 행렬의 행렬식
- 단위 행렬의 행렬식:
- 대각 행렬의 행렬식: \mathbf{D} = \text{diag}(d_1, d_2, \dots, d_n)인 대각 행렬에 대해,
- 삼각 행렬의 행렬식: \mathbf{T}가 상삼각 행렬이거나 하삼각 행렬일 때,
3. 행렬식의 확장 성질
3.1. 행렬식의 선형성
행렬식은 한 행이나 열에 대해 선형이다. 즉, \mathbf{A}의 한 행이 다른 행들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면, 행렬식은 0이 된다.
- 한 행에 대한 선형성:
여기서 \mathbf{A}_1과 \mathbf{A}_2는 \mathbf{A}의 한 행이 두 벡터의 합으로 분해된 행렬이다.
3.2. 교대성 (Alternating Property)
행렬의 두 행이나 두 열이 서로 같으면, 그 행렬의 행렬식은 0이다.
- 두 행 교환: 행렬 \mathbf{A}의 두 행(또는 열)을 교환하면, 행렬식의 부호가 반대로 바뀝니다.
여기서 \mathbf{B}는 \mathbf{A}의 두 행(또는 열)을 교환한 행렬이다.
4. 고유값과 고유벡터
4.1. 고유값의 정의
행렬 \mathbf{A}의 고유값 \lambda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스칼라이다.
여기서 \mathbf{v}는 고유벡터로, \mathbf{A}를 변환했을 때 그 방향이 변하지 않는 벡터이다.
4.2. 고유값 방정식
고유값 \lambda는 다음 행렬 방정식을 통해 찾을 수 있다.
이 식을 통해 얻은 다항식을 특성 방정식이라고 부른다.
4.3. 대각화
행렬 \mathbf{A}가 대각화 가능하다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D}는 \mathbf{A}의 고유값으로 이루어진 대각 행렬이며, \mathbf{P}는 고유벡터들로 구성된 행렬이다.
5. Cayley-Hamilton 정리
5.1. 정리의 내용
Cayley-Hamilton 정리는 모든 정사각 행렬 \mathbf{A}가 자신의 특성 방정식을 만족한다는 내용이다. 즉, \mathbf{A}의 특성 방정식이
라면, 이를 행렬식으로 대체한 방정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c_0, c_1, \dots, c_{n-1}는 특성 방정식의 계수이다.
5.2. 증명 개요
Cayley-Hamilton 정리의 증명은 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 행렬 \mathbf{A}의 특성 방정식을 구성한다.
- 그 방정식에 \mathbf{A}를 대입하여 다항식을 만든다.
- 이 다항식이 항상 영행렬 \mathbf{0}을 만족함을 보인다.
증명 과정은 행렬의 기본 성질과 행렬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6. 연립 방정식과 행렬
6.1. 선형 연립 방정식
연립 선형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행렬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A}는 계수 행렬, \mathbf{x}는 미지수 벡터, \mathbf{b}는 상수 벡터이다.
6.2. Cramer's Rule
Cramer's Rule은 다음과 같은 형식의 연립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때 \mathbf{x}_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A}_i는 \mathbf{A}에서 i번째 열을 벡터 \mathbf{b}로 대체한 행렬이다.
6.3. Gauss 소거법
Gauss 소거법은 연립 선형 방정식을 풀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행렬을 상삼각 행렬로 변환한 다음, Back Substitution을 사용하여 해를 구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7. 대칭 행렬과 고유값
7.1. 대칭 행렬의 정의
대칭 행렬 \mathbf{A}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이다.
즉, 행렬 \mathbf{A}는 전치해도 동일한 행렬이다.
7.2. 대칭 행렬의 고유값의 성질
대칭 행렬은 고유값과 고유벡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
고유값은 실수이다: 대칭 행렬의 모든 고유값은 실수이다.
-
고유벡터는 직교한다: 서로 다른 고유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들은 직교한다. 즉, 대칭 행렬의 고유벡터들은 서로 직교하는 단위 벡터로 이루어진 기저를 형성한다.
7.3. 스펙트럼 정리
스펙트럼 정리는 대칭 행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칭 행렬 \mathbf{A}는 다음과 같이 직교 행렬 \mathbf{P}와 대각 행렬 \mathbf{D}로 대각화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D}는 \mathbf{A}의 고유값으로 이루어진 대각 행렬이고, \mathbf{P}는 \mathbf{A}의 고유벡터들로 이루어진 직교 행렬이다.
8. 양의 정부호 행렬
8.1. 정의
행렬 \mathbf{A}가 양의 정부호(Positive Definite)라면,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mathbf{x}는 영벡터가 아닌 임의의 벡터이다.
8.2. 성질
양의 정부호 행렬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
모든 고유값은 양수이다: 양의 정부호 행렬의 모든 고유값은 양수이다.
-
정사각 행렬이다: 양의 정부호 행렬은 반드시 정사각 행렬이다.
8.3. Cholesky 분해
양의 정부호 행렬 \mathbf{A}는 다음과 같이 Cholesky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L}은 하삼각 행렬이다.
9. 블록 행렬
9.1. 블록 행렬의 정의
블록 행렬은 행렬을 더 작은 블록 단위로 나눈 형태로, 각 블록은 작은 행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mathbf{A}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athbf{A}_{ij}는 각 블록 행렬이다.
9.2. 블록 행렬의 연산
블록 행렬의 연산은 개별 블록에 대한 연산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행렬의 덧셈과 곱셈은 각각의 블록 단위로 수행된다.
- 덧셈:
- 곱셈:
10. 행렬의 고윳값 분해 (Eigenvalue Decomposition)
10.1. 정의
행렬 \mathbf{A}의 고윳값 분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athbf{Q}는 고유벡터로 구성된 행렬이며, \mathbf{\Lambda}는 \mathbf{A}의 고유값으로 구성된 대각 행렬이다.
10.2. 성질
고윳값 분해는 대각화 가능한 모든 행렬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실수 대칭 행렬의 경우, 고유벡터들은 서로 직교하며, \mathbf{Q}는 직교 행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