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렬의 기본 성질

1.1. 행렬의 덧셈과 스칼라 곱

행렬의 덧셈과 스칼라 곱은 기본적인 연산이며,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

\mathbf{A} + \mathbf{B} = \mathbf{B} + \mathbf{A}

여기서 \mathbf{A}\mathbf{B}는 같은 크기의 행렬이다.

(\mathbf{A} + \mathbf{B}) + \mathbf{C} = \mathbf{A} + (\mathbf{B} + \mathbf{C})

여기서 \mathbf{A}, \mathbf{B}, \mathbf{C}는 같은 크기의 행렬이다.

c(\mathbf{A} + \mathbf{B}) = c\mathbf{A} + c\mathbf{B}

여기서 c는 스칼라이고, \mathbf{A}\mathbf{B}는 같은 크기의 행렬이다.

\mathbf{A}( \mathbf{B} + \mathbf{C}) = \mathbf{A}\mathbf{B} + \mathbf{A}\mathbf{C}

여기서 \mathbf{A}, \mathbf{B}, \mathbf{C}는 행렬이다.

1.2. 행렬의 전치

행렬 \mathbf{A}의 전치 \mathbf{A}^T는 행과 열을 교환한 행렬이다. 전치 행렬의 기본 성질은 다음과 같다.

(\mathbf{A}^T)^T = \mathbf{A}
(\mathbf{A} + \mathbf{B})^T = \mathbf{A}^T + \mathbf{B}^T
(\mathbf{A}\mathbf{B})^T = \mathbf{B}^T\mathbf{A}^T

1.3. 행렬의 역행렬

역행렬 \mathbf{A}^{-1}\mathbf{A}와 곱했을 때 단위행렬 \mathbf{I}를 만드는 행렬이다.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mathbf{A}\mathbf{B})^{-1} = \mathbf{B}^{-1} \mathbf{A}^{-1}

2. 행렬식의 기본 성질

2.1. 행렬식의 정의

정사각 행렬 \mathbf{A}의 행렬식은 \text{det}(\mathbf{A})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text{det}(\mathbf{A}^T) = \text{det}(\mathbf{A})
\text{det}(\mathbf{A}\mathbf{B}) = \text{det}(\mathbf{A}) \times \text{det}(\mathbf{B})
\text{det}(\mathbf{A}^{-1}) = \frac{1}{\text{det}(\mathbf{A})}

2.2. 특수 행렬의 행렬식

\text{det}(\mathbf{I}) = 1
\text{det}(\mathbf{D}) = d_1 \times d_2 \times \dots \times d_n
\text{det}(\mathbf{T}) = t_{11} \times t_{22} \times \dots \times t_{nn}

3. 행렬식의 확장 성질

3.1. 행렬식의 선형성

행렬식은 한 행이나 열에 대해 선형이다. 즉, \mathbf{A}의 한 행이 다른 행들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면, 행렬식은 0이 된다.

\text{det}(\mathbf{A}) = \text{det}(\mathbf{A}_1) + \text{det}(\mathbf{A}_2)

여기서 \mathbf{A}_1\mathbf{A}_2\mathbf{A}의 한 행이 두 벡터의 합으로 분해된 행렬이다.

3.2. 교대성 (Alternating Property)

행렬의 두 행이나 두 열이 서로 같으면, 그 행렬의 행렬식은 0이다.

\text{det}(\mathbf{B}) = -\text{det}(\mathbf{A})

여기서 \mathbf{B}\mathbf{A}의 두 행(또는 열)을 교환한 행렬이다.

4. 고유값과 고유벡터

4.1. 고유값의 정의

행렬 \mathbf{A}의 고유값 \lambda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스칼라이다.

\mathbf{A} \mathbf{v} = \lambda \mathbf{v}

여기서 \mathbf{v}는 고유벡터로, \mathbf{A}를 변환했을 때 그 방향이 변하지 않는 벡터이다.

4.2. 고유값 방정식

고유값 \lambda는 다음 행렬 방정식을 통해 찾을 수 있다.

\text{det}(\mathbf{A} - \lambda \mathbf{I}) = 0

이 식을 통해 얻은 다항식을 특성 방정식이라고 부른다.

4.3. 대각화

행렬 \mathbf{A}가 대각화 가능하다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mathbf{A} = \mathbf{P} \mathbf{D} \mathbf{P}^{-1}

여기서 \mathbf{D}\mathbf{A}의 고유값으로 이루어진 대각 행렬이며, \mathbf{P}는 고유벡터들로 구성된 행렬이다.

5. Cayley-Hamilton 정리

5.1. 정리의 내용

Cayley-Hamilton 정리는 모든 정사각 행렬 \mathbf{A}가 자신의 특성 방정식을 만족한다는 내용이다. 즉, \mathbf{A}의 특성 방정식이

\text{det}(\mathbf{A} - \lambda \mathbf{I}) = 0

라면, 이를 행렬식으로 대체한 방정식이 성립한다.

\mathbf{A}^n + c_{n-1}\mathbf{A}^{n-1} + \dots + c_1\mathbf{A} + c_0\mathbf{I} = \mathbf{0}

여기서 c_0, c_1, \dots, c_{n-1}는 특성 방정식의 계수이다.

5.2. 증명 개요

Cayley-Hamilton 정리의 증명은 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행렬 \mathbf{A}의 특성 방정식을 구성한다.
  2. 그 방정식에 \mathbf{A}를 대입하여 다항식을 만든다.
  3. 이 다항식이 항상 영행렬 \mathbf{0}을 만족함을 보인다.

증명 과정은 행렬의 기본 성질과 행렬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6. 연립 방정식과 행렬

6.1. 선형 연립 방정식

연립 선형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행렬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mathbf{A} \mathbf{x} = \mathbf{b}

여기서 \mathbf{A}는 계수 행렬, \mathbf{x}는 미지수 벡터, \mathbf{b}는 상수 벡터이다.

6.2. Cramer's Rule

Cramer's Rule은 다음과 같은 형식의 연립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mathbf{A} \mathbf{x} = \mathbf{b}

이때 \mathbf{x}_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_i = \frac{\text{det}(\mathbf{A}_i)}{\text{det}(\mathbf{A})}

여기서 \mathbf{A}_i\mathbf{A}에서 i번째 열을 벡터 \mathbf{b}로 대체한 행렬이다.

6.3. Gauss 소거법

Gauss 소거법은 연립 선형 방정식을 풀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행렬을 상삼각 행렬로 변환한 다음, Back Substitution을 사용하여 해를 구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7. 대칭 행렬과 고유값

7.1. 대칭 행렬의 정의

대칭 행렬 \mathbf{A}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이다.

\mathbf{A}^T = \mathbf{A}

즉, 행렬 \mathbf{A}는 전치해도 동일한 행렬이다.

7.2. 대칭 행렬의 고유값의 성질

대칭 행렬은 고유값과 고유벡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7.3. 스펙트럼 정리

스펙트럼 정리는 대칭 행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칭 행렬 \mathbf{A}는 다음과 같이 직교 행렬 \mathbf{P}와 대각 행렬 \mathbf{D}로 대각화할 수 있다.

\mathbf{A} = \mathbf{P} \mathbf{D} \mathbf{P}^T

여기서 \mathbf{D}\mathbf{A}의 고유값으로 이루어진 대각 행렬이고, \mathbf{P}\mathbf{A}의 고유벡터들로 이루어진 직교 행렬이다.

8. 양의 정부호 행렬

8.1. 정의

행렬 \mathbf{A}가 양의 정부호(Positive Definite)라면,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mathbf{x}^T \mathbf{A} \mathbf{x} > 0

여기서 \mathbf{x}는 영벡터가 아닌 임의의 벡터이다.

8.2. 성질

양의 정부호 행렬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8.3. Cholesky 분해

양의 정부호 행렬 \mathbf{A}는 다음과 같이 Cholesky 분해할 수 있다.

\mathbf{A} = \mathbf{L} \mathbf{L}^T

여기서 \mathbf{L}은 하삼각 행렬이다.

9. 블록 행렬

9.1. 블록 행렬의 정의

블록 행렬은 행렬을 더 작은 블록 단위로 나눈 형태로, 각 블록은 작은 행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mathbf{A}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mathbf{A} = \begin{pmatrix} \mathbf{A}_{11} & \mathbf{A}_{12} \\ \mathbf{A}_{21} & \mathbf{A}_{22} \end{pmatrix}

여기서 \mathbf{A}_{ij}는 각 블록 행렬이다.

9.2. 블록 행렬의 연산

블록 행렬의 연산은 개별 블록에 대한 연산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행렬의 덧셈과 곱셈은 각각의 블록 단위로 수행된다.

\mathbf{A} + \mathbf{B} = \begin{pmatrix} \mathbf{A}_{11} + \mathbf{B}_{11} & \mathbf{A}_{12} + \mathbf{B}_{12} \\ \mathbf{A}_{21} + \mathbf{B}_{21} & \mathbf{A}_{22} + \mathbf{B}_{22} \end{pmatrix}
\mathbf{A} \mathbf{B} = \begin{pmatrix} \mathbf{A}_{11}\mathbf{B}_{11} + \mathbf{A}_{12}\mathbf{B}_{21} & \mathbf{A}_{11}\mathbf{B}_{12} + \mathbf{A}_{12}\mathbf{B}_{22} \\ \mathbf{A}_{21}\mathbf{B}_{11} + \mathbf{A}_{22}\mathbf{B}_{21} & \mathbf{A}_{21}\mathbf{B}_{12} + \mathbf{A}_{22}\mathbf{B}_{22} \end{pmatrix}

10. 행렬의 고윳값 분해 (Eigenvalue Decomposition)

10.1. 정의

행렬 \mathbf{A}의 고윳값 분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mathbf{A} = \mathbf{Q} \mathbf{\Lambda} \mathbf{Q}^{-1}

여기서 \mathbf{Q}는 고유벡터로 구성된 행렬이며, \mathbf{\Lambda}\mathbf{A}의 고유값으로 구성된 대각 행렬이다.

10.2. 성질

고윳값 분해는 대각화 가능한 모든 행렬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실수 대칭 행렬의 경우, 고유벡터들은 서로 직교하며, \mathbf{Q}는 직교 행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