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 정수계획법의 정의
혼합 정수계획법(Mixed Integer Programming, MIP)은 목적 함수와 제약 조건이 선형이면서 일부 변수는 정수로 제한되고, 다른 변수는 실수로 허용되는 선형계획 문제를 말한다. 이 문제는 다양한 현실 세계의 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생산 계획, 물류 최적화, 스케줄링 등의 문제에서는 일부 변수들이 정수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혼합 정수계획 문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 \mathbf{x} = (x_1, x_2, \dots, x_n)는 결합된 실수 및 정수 변수를 나타낸다. - \mathbf{x}_I = (x_{i_1}, x_{i_2}, \dots, x_{i_p})는 정수로 제한된 변수들의 집합이다. - \mathbf{A} \in \mathbb{R}^{m \times n}는 계수 행렬이고, \mathbf{b} \in \mathbb{R}^m는 상수 벡터이다. - \mathbf{c} \in \mathbb{R}^n는 목적 함수의 계수 벡터이다.
이 문제에서 정수로 제한된 변수와 실수로 허용된 변수 사이의 상호작용이 해결을 어렵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혼합 정수계획 문제는 NP-난해 문제로 간주되며, 이는 문제의 복잡성과 해결의 어려움을 의미한다.
정수 변수와 실수 변수의 차이점
혼합 정수계획법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정수 변수와 실수 변수의 차이이다. 정수 변수는 자연수 또는 0을 포함한 값으로 제한된다. 반면, 실수 변수는 연속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 정수 변수: x_i \in \mathbb{Z}
- 실수 변수: x_j \in \mathbb{R}
정수 변수는 현실 세계의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물류 문제에서 차량 수는 반드시 정수여야 하며, 생산 계획에서는 생산량이 분수일 수 없다. 그러나 실수 변수는 물리적 속성이나 비율, 비용 등을 나타내는 데 유용하다.
혼합 정수계획법의 난해성
혼합 정수계획 문제는 일반적인 선형계획 문제보다 훨씬 해결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정수 변수가 도입됨으로써 연속적인 해를 갖는 선형계획 문제와 달리, 비연속적인 해 공간을 갖기 때문이다. 이는 계산 복잡성을 급격히 증가시키며, 문제의 크기가 커질수록 최적 해를 찾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정수계획 문제의 난이도는 분지한정법(Branch and Bound), 분지절단법(Branch and Cut)과 같은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문제를 작은 하위 문제로 분해하거나, 정수 해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차단함으로써 최적 해를 찾는 데 기여한다.
분기와 한정(Branch and Bound) 방법
분지한정법은 혼합 정수계획법의 대표적인 해결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해 공간을 재귀적으로 분할하면서 상한과 하한을 계산하여 최적 해를 찾는다.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초기 문제를 해결하고, 그 문제의 해를 평가한다.
- 정수 해가 아닌 경우, 해당 변수에 대해 가지를 나누어 분할한다. 예를 들어, 변수 x_i \in \mathbb{Z}가 2.3이라는 값을 가지면, 두 가지로 나눈다: x_i \leq 2 또는 x_i \geq 3.
- 각 가지에 대해 다시 문제를 해결하고, 최적 해를 찾기 위해 상한과 하한을 계산한다.
- 최적 해가 발견되면, 해당 가지는 더 이상 탐색하지 않으며, 더 나은 해를 찾기 위해 다른 가지를 탐색한다.
분지절단법(Branch and Cut) 방법
분지절단법은 분지한정법의 확장된 기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절단평면(Cutting Plane)을 추가하여 가능 영역을 줄여나가는 방식이다. 절단평면은 비정수 해를 제거하면서도 정수 해를 포함하는 평면을 추가로 도입함으로써 최적 해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절단평면의 개념
절단평면은 정수해를 포함하는 다면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평면이다. 예를 들어, 혼합 정수계획 문제에서 실수 해를 먼저 찾은 후, 해당 해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정수 해를 보존하는 새로운 제약 조건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새로운 제약 조건은 선형적으로 추가되며, 결과적으로 문제의 해 공간을 좁힌다.
절단평면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mathbf{a} \in \mathbb{R}^n는 새로운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계수 벡터, b는 상수이다. 이 평면은 기존의 제약 조건과 더불어 정수해를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절단평면의 적용 과정
절단평면을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혼합 정수계획 문제의 실수 해를 찾는다.
- 실수 해가 정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해당 해를 배제할 수 있는 절단평면을 추가한다.
- 추가된 절단평면에 의해 축소된 해 공간에서 다시 최적 해를 찾는다.
- 최적 해가 정수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해를 최종 해로 선택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절단평면을 추가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은 가분선형계획법(Divisible Linear Programming)에서도 유사하게 사용된다. 다만, 혼합 정수계획 문제의 특성상 절단평면의 선택과 적용이 더 복잡할 수 있다.
혼합 정수계획법에서의 휴리스틱 기법
혼합 정수계획법은 NP-난해 문제이므로 대규모 문제에서는 정확한 해법 대신 근사 해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근사 해법은 정확한 최적 해 대신, 빠르게 구할 수 있는 "좋은" 해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근사 해법으로는 휴리스틱(Heuristic) 기법과 메타휴리스틱(Metaheuristic) 기법이 있다.
휴리스틱 기법
휴리스틱 기법은 특정 문제에 대해 경험적 규칙을 적용하여 가능한 해를 빠르게 찾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문제의 구조를 분석하여 직관적으로 좋은 해를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대규모 문제에서 특히 유용하다. 다만, 휴리스틱 기법은 항상 최적 해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탐욕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은 매 단계에서 최적의 선택을 하여 전체 해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빠른 시간 내에 "괜찮은" 해를 찾을 수 있지만, 최종 해가 전체적으로 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메타휴리스틱 기법
메타휴리스틱 기법은 휴리스틱 기법을 확장한 방법으로, 다양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탐색 전략을 제공한다. 메타휴리스틱 기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담금질 기법(Simulated Annealing), 개미 군집 최적화(Ant Colony Optimization) 등이 있다.
이 기법들은 다양한 경로를 탐색하여 국지 최적해(Local Optima)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매우 대규모의 문제에서 사용된다.